파이썬 공부 내용 정리3 [BOJ][파이썬] 1026 보물 문제 옛날 옛적에 수학이 항상 큰 골칫거리였던 나라가 있었다. 이 나라의 국왕 김지민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내고 큰 상금을 걸었다. 길이가 N인 정수 배열 A와 B가 있다. 다음과 같이 함수 S를 정의하자. S = A[0] × B[0] + ... + A[N-1] × B[N-1] S의 값을 가장 작게 만들기 위해 A의 수를 재배열하자. 단, B에 있는 수는 재배열하면 안 된다. S의 최솟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A에 있는 N개의 수가 순서대로 주어지고, 셋째 줄에는 B에 있는 수가 순서대로 주어진다. N은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고, A와 B의 각 원소는 100보다 작거나 같은 음이 아닌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S의 최솟값을 출력한다. 풀이.. 2022. 4. 26. 재귀함수 실행 순서 정리 재귀함수란 정의 단계에서 자기 자신을 재참조 하는 함수를 의미한다. 내가 잘 몰랐건 부분은 재귀함수의 실행 순서이다. 재귀함수의 실행 순서는 아래 그림과 같다. 참조 코드는 아래와 같다. def a(n) : print("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print(n) print() for i in range(10) : if i == n : a(10) print(i) print("===============================") a(5)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5 0 1 2 3 4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0 0 1 2 3 4 5 6 7 8 9 ===============================.. 2022. 1. 27. 연결 리스트 (Linked List) Linked List란? 값 + 다음 노드에 대한 포인터(참조)가 포함된 노드로 이루어진 선형 리스트 마지막 노드는 null 값(파이썬은 None)을 갖음 class Node(object): def __init__(self, value=None, pointer=None): self.value = value self.pointer = pointer def getData(self): return self.value def getNext(self): return self.pointer def setData(self, newdata): self.value = newdata def setNext(self, newpointer): self.pointer = newpointer if __name__ == "__mai.. 2022. 1. 16. 이전 1 다음